분류 전체보기 (93)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Json library jackson Jackson 은 자바용 json 라이브러리로 잘 알려져 있지만 Json 뿐만 아니라 XML/YAML/CSV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타를 지원하는 data-processing 툴이다. -스트림 방식이므로 속도가 빠르며 유연하며 다양한 third party 데이타 타입을 지원하며 -annotation 방식으로 메타 데이타를 기술할 수 있으므로 JSON 의 약점중 하나인 문서화와 데이타 validation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@RequestBody / @ResponseBody @RequestMapping에서 @RequestBody, 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컨트롤러에서 JSON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. @RequestBody 어노테이션은 @RequestMapping에 의해 POST 방식으로 전송된 HTTP 요청 데이터를 지정해준 r값에 맞춰 변환해주는 역할 @GetMapping / @PostMapping Spring 4.3버전 이후로 추가된 @GetMapping, @PostMapping, @DeleteMapping, @PutMapping 및 @PatchMapping 기본적인 작동 원리로는 GET의 HTTP(S) request를 처리하는 @GetMapping, POST의 HTTP(S) request를 처리하는 PostMapping, DELETE의 HTTP(S) request를 처리하는 @DeleteMapping, PATCH와 PUT의 HTTP(S) request를 처리하는 @PutMapping과 @PatchMapping GET / POST 방식 출처: https://hongsii.github.io/2017/08/02/what-is-the-difference-get-and-post/ HTTP HTTP: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/응답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에 맞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. 이 때, HTTP 요청에 포함되는 HTTP 메소드: 서버가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해야할 행동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. 이 HTTP 메소드 중 GET과 POST 방식이 있음 서버 -------요청(HTTP메소드포함-GET/POST방식)----------> 클라이언트 GET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. GET은 요청을 전송할 때 필요한 데이터.. Spring의 기본이 되는 MVC패턴 / @Controller 와 @Restcontroller Model - 데이터 View - 화면(보이는 부분): HTML Controller - @Controller 혹은 @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Annotation이 붙어있으면 자동으로 스프링 프레임웍이 URL 맵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바라본다. @Controller는 HTML핸들링에 특화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할 경우 ResponseEntity를 활용해야 한다. @RestContoller는 json형식으로 데이터 처리에 특화되어 있으므로 HTML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ModelAndView를 활용해야 한다. 상황에 맞게 HTML을 많이 쓰면 @Controller, 데이터를 많이 처리하면 @RestController를 쓰면 된다. @Configuration 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위에 붙여 설정파일 관련된 것 설정할 때 사용 @Configuration 쓸 때 final이면 안되고 지역변수 만드는 것 안됨 @Configuration public class DBConfig { }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는 한 도메인에서 로드되어 다른 도메인에 있는 리소스와 상호작용하는 클라이언트 웹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방법을 정의합니다. 웹 캐쉬 출처: https://hahahoho5915.tistory.com/32 [넌 잘하고 있어] 웹 캐쉬란 client가 요청하는 html, image, js, css등에 대해 첫 요청 시에 파일을 내려받아 특정 위치에 복사본을 저장(USING SPACE)하고, 이후 동일한 URL의 Resource요청은 다시 내려 받지 않고 내부에 저장한 파일을 사용하여 더 빠르게 서비스(SAVE TIME)하기 위한 것입니다. 서버를 통해 내려 받는 양이 적어지니 응답 시간이 감소하고 네트워크 트레픽이 감소되니 server와 client 모두가 win-win할 수 있는 최고의 tradeoff 인 셈입니다. 웹 캐쉬의 종류 웹 캐쉬의 종류는 어디에 적용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뉠 수 있으며 이중 중점적으로 볼 내용은 Bro.. 쿠키(Cookie)와 세션(Session) 출처: https://hahahoho5915.tistory.com/32 [넌 잘하고 있어]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은 크게 상태 정보의 저장 위치이다. 쿠키는 '클라이언트(=로컬PC)'에 저장하고, 세션은 '서버' 에 저장한다.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, 서버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을 경우 소모되는 자원이 상당하다. 이러한 자원관리 차원에서 쿠키와 세션을 적절한 요소 및 기능에 병행 사용하여, 서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웹사이트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쿠키(Cookie)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,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.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.. Vuetify 설치 $ npm install --save -dev vuetify $ npm audit fix -npm install을 할 때 package의 취약점을 검사한다. 그리고 npm audit fix으로 취약점이 발견된 package를 자동으로 update해준다. https://lovemewithoutall.github.io/it/npm-audit-fix/ $ vue add vuetify - 예쁘게 꾸며주는 기능 뷰티파이에서 사용하는 기능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다음